금 태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 태조는 본래 이름이 완안 아구다이며, 1068년에 태어나 1123년에 사망한 금나라의 초대 황제이다. 여진족 완안부의 추장으로 성장하여 요나라의 지배에 저항하여 금나라를 건국하였다. 1115년 황제에 즉위하고 국호를 대금으로 정했으며, 맹안·모극 제도와 여진 문자를 개발하는 등 통치 체제를 정비했다.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요나라를 멸망시키고 영토를 확장했지만, 잦은 전쟁으로 백성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8년 출생 - 헨리 1세
헨리 1세는 1100년부터 1135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왕으로, 자유 헌장 선포, 노르망디 정복, 성직 임명권 분쟁 해결, 행정 및 사법 개혁을 통해 국가 기틀을 다졌지만 후계자 문제로 인해 내전의 씨앗을 남겼다. - 1123년 사망 - 외위스테인 1세
외위스테인 1세는 12세기 초 노르웨이의 공동 국왕으로, 형제들과 함께 국가를 통치하며 국내 문제에 집중하여 국가의 번영을 이끌고 다양한 건설 사업을 추진하여 '평화의 왕'으로 묘사된다. - 1123년 사망 - 야율아리
야율아리는 요나라 천조제의 차남으로, 금나라의 침략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에 북요의 황제로 옹립되었으나 즉위한 해에 사망하였다. - 12세기 중국의 군주 - 북송 휘종
북송 휘종은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으나 정치적 실정과 외교적 실패로 금나라에 포로로 잡혀 비참한 최후를 맞은 북송의 제8대 황제이다. - 12세기 중국의 군주 - 금 희종
금 희종은 금나라의 제3대 황제로, 중앙집권 체제 강화와 중국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공신 숙청과 폭정으로 반대파 쿠데타로 암살당했다.
금 태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한자 이름) | 완안민(完顏旻) |
여진 이름 | 아구다(阿骨打) |
출생일 | 1068년 8월 1일 |
사망일 | 1123년 9월 19일 |
묘호 | 태조(太祖) |
시호 | 응건흥운소덕정공인명장효대성무원황제(應乾興運昭德定功仁明莊孝大聖武元皇帝) |
능묘 | 예릉(睿陵) (이전에는 화릉) |
통치 정보 | |
정치 체제 | 금나라 황제 |
재위 기간 | 1115년 1월 28일 ~ 1123년 9월 19일 |
연호 | 수국(收國): 1115년 ~ 1116년 천보(天輔): 1117년 ~ 1123년 |
즉위 | 1115년 음력 1월 1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헬리보 |
어머니 | 나라씨 부인 |
배우자 | 성목황후 당괄씨 광의황후 배만씨 흠헌황후 흘석렬씨 선헌황후 복산씨 원비 충비 두누커 |
자녀 | 성과 워번 워리부 우주 기타 (하위 섹션 참고) |
기타 정보 | |
왕조 | 금 |
씨족 | 완안 |
2. 이름
아구다의 성은 '''완안'''(完顔)이고, 이름은 웨일스 자일스 표기법으로 A-ku-ta로 표기된다.[27] 'Akutta'라는 대체 철자는 아주 적은 수의 책에서 등장한다.[28][29]
아골타는 완안부의 추장 핵리발의 둘째 아들이었다. 사서에 의하면 핵리발의 시조는 고려 평주에서 살다가 여진으로 이주한 고려인 금준(今俊)이라고 한다.[30] 그의 어머니는 나라(拏懶)부 수장의 딸이었다. 이들은 함경도 근처에서 아시허로 이주하였고 1068년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의 아시허(阿什河) 근처에서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다.[30]
3. 생애
그는 여진족 내에서 용맹함으로 잘 알려져 있었고, 거란에 적대적인 여진족에 대항하는 수많은 전투에 참전했었다. 1109년, 광범위한 기근이 한창일 때, 아구다는 자신의 군대를 강화하기 위해 다른 여진족으로부터 그의 아버지를 도왔다. 이후 다른 여진족과 전쟁을 벌였고, 완안부의 지휘 아래 모든 생여진 부족들을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 1113년 아구다는 형 오아속의 뒤를 이어 부족의 지도자로 즉위했다.[31]
1114년 초 아구다는 거란 영토에 첩자를 파견하고, 부패했다고 여긴 거란 정권에 대한 반란을 준비했다. 그의 조언자는 완안종한과 완안희윤이었다.[32]
1115년 1월 28일 여진족은 스스로 금나라를 세웠고, 황제가 된 아구다는 여세를 몰아 요동 지역의 황룡부(黃龍府)를 멸망시켰다. 당시 요나라의 황제인 천조제(天祚帝) 야율연희(耶律延禧)는 자칭 70만의 대군을 편성하여 금나라를 공격했으나 도리어 대패를 당했다.
그는 요나라를 물리치고 요동으로 진출했다. 금나라는 송나라와 요나라를 공격하자는 동맹(해상의 맹)을 맺었다.
1120년 요나라의 수도인 상경 임황부(上京臨潢府), 1121년 말에는 중경 대정부(中京大定府)를 함락했다. 강남에서 일어난 방랍의 난으로 인해 그해에 겨우 북송은 북방에 출병하여 요나라의 천조제가 있는 연경을 공격했다. 송나라 군대는 요군에 연패를 당하고, 성과를 올릴 수 없자 송군의 지휘관 동관은 금에 원군을 요청하고 송나라는 금나라에 조공을 바치는 해상의 맹을 약속한다. 금나라는 장성 이남에 출병하지 않기로 약속하였지만 출병하여 연경을 함락시켰다. 이 결과 맹약대로 연운 16주 중 연경 이남의 6주는 송나라에 할양되었지만, 금군은 연운 이북을 약탈하고 연운 16주의 백성들도 금나라로 이주시켰다.
그 때문에 이곳에서는 세수를 징수할 수 없는 상태에 빠졌다. 또한 금은 연경 출병의 대가로 은 20만 냥, 비단 30만 필, 전 100만 관, 군량 20만 석을 요구했고, 북송은 이것을 거부할 수 없이 금나라에 조공하였다.
아구다는 1123년 9월 19일에 병으로 회령부로 가던 중에 객사했다. 그는 부족 관습을 기반으로 새로운 봉건 정부 시스템을 구축했고, 맹안모극제(猛安謀克|맹안모극중국어)라는 집단주의 시스템으로 국가 농업을 조직했다. 또한 한족 문화를 흡수하여 재상 완안희윤에게 여진 문자를 개발하도록 명했다. 후사는 금 태종이 계승하였다. 이후 금나라는 북송을 멸망시켰다.
3. 1. 초기 생애와 부족 통합
아구다는 1068년 여진족 완안부의 추장 핵리발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30] 그의 가문은 고려에서 이주해 온 금준(今俊)을 시조로 한다.[30] 아구다의 조부는 생여진 완안부의 족장인 우구나이이며, 아버지는 영가의 동생인 핵리발이다. 생모는 여진 나란부 수장의 딸인 익간황후이다. 그는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의 아시허(阿什河) 근처에서 태어났다.[30]
그는 부족 내에서 용맹함으로 잘 알려져 있었고, 거란에 적대적인 여진족에 대항하는 수많은 전투에 참전했다.[31] 1109년, 광범위한 기근이 한창일 때, 아구다는 자신의 군대를 강화하기 위해 다른 여진족으로부터 그의 아버지를 도왔다. 이후 다른 여진족과 전쟁을 벌였고, 완안부의 지휘 아래 모든 생여진 부족들을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31]
1113년 아구다는 형 오아속의 뒤를 이어 완안부의 추장이 되었다.[31] 그는 형의 죽음 이후 여진(주션)의 군주로 구성된 발극렬(보기레) 제도를 정비하고 그 리더로서 도발극렬(토보기레)을 칭했다.[13]
3. 2. 금나라 건국과 대외 전쟁
1114년, 아구다는 요나라에 반기를 들었다. 그는 완안종한과 완안희윤 등의 조언을 받아 군사를 일으켰고,[32] 리우수이(流水, 현재의 푸위, 지린성의 라린강 근처)에서 2,500명의 부족민을 소집하여 요나라에 반란을 일으켰다. 그의 기병대는 닝장저우(寧江州, 현재의 푸위)를 점령하고, 추허뎬 전투에서 7,000명의 요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1115년 1월 28일, 아구다는 금나라를 건국하고 황제에 즉위했으며, 연호를 수국(收國)이라 정했다.[6] 그 해 8월, 그의 군대는 황룡부(黃龍府, 현재의 농안현)를 점령하고 후부다가강 전투에서 20,000명의 기병만으로 700,000명의 요나라 군대를 격파하는 대승을 거두었다.
1116년까지 아구다는 랴오둥반도 전체를 정복했다. 1119년에서 1122년 사이, 금나라 군대는 요나라 군대를 반복적으로 격파하고 요나라의 5개 수도를 모두 점령했다.
금나라는 한족이 이끄는 북송과 해상의 맹을 맺고 요나라를 협공하기로 했다. 1117년에서 1123년 사이에 7개의 송나라 대표단이 여진족을 방문했고, 6개의 금나라 사절단이 송나라 수도 변경(현재의 카이펑)을 방문했다.[7] 1115년에서 1123년 사이, 금나라와 송나라는 해상 동맹을 협상하고 형성하여 요나라에 대항했다. 그러나 송나라는 방랍의 난 등으로 인해 군사적 지원이 늦어졌고, 금나라가 요나라의 연운 16주 중 연경을 함락시킨 후 송나라에 할양했다.
이후 금나라는 송나라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갈등을 빚게 되었다. 아구다는 1123년 9월 19일에 병으로 사망했고, 그의 동생 오걸매(태종)가 뒤를 이었다.[7]
3. 3. 금나라의 제도 정비
아구다는 요나라와의 전쟁 중에 여진족의 부족 관습을 기반으로 새로운 봉건 정부 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는 국가 농업을 맹안모극제(猛安謀克|맹안모극중국어)라는 집단주의 시스템으로 조직했다.[6] 맹안모극제는 300호를 1모극(무쿤)으로 조직하고, 10개의 모극을 1맹안(밍간)으로 묶는 제도였다.[15][16] 이들은 군사 조직이자 동시에 새로운 행정 조직으로서, 전투가 없을 때는 수렵, 목축, 농경 등 생업에 종사했다.[15][16] 이는 징병과 지역 지배에 효율적인 시스템이었다.[16]
또한 아구다는 한족 문화의 요소를 흡수하고, 재상 완안희윤에게 독특한 여진 문자를 개발하도록 명했다.[6] 완안희윤과 완안엽로는 1119년(천보 3년) 8월 거란 문자나 한자를 참고하여 여진 문자(여진 대자)를 완성했다.[23]
4. 가족 관계
금 태조 아구다는 완안 씨족의 시조인 한푸의 8대손으로, 아버지 헬리보와 어머니 나란씨(拏懶氏중국어)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나란 부족 족장의 딸이었다.
4. 1. 부모와 조부모
- '''조부''': 완안 오고내 (경조 혜환황제)
- '''조모''': 당괄씨 (소숙황후)
- '''부친''': 완안 핵리발 (세조 성숙황제)
- '''모친''': 나라씨 (익간황후)
4. 2. 황후와 후궁
봉호 | 이름(성씨) | 자녀 |
---|---|---|
성목황후(聖穆皇后) | 당괄씨(唐括氏) [33] | |
흠헌황후(欽憲皇后) | 흘석렬씨(紇石烈氏)[34] | |
광의황후(光懿皇后) | 배만씨(裴滿氏)[35] | |
선헌황후(宣獻皇后) | 복산씨(僕散氏)[36] | |
원비(元妃) | 오고론씨(烏古論氏) | |
숭비(崇妃) | 소씨(蕭氏) (1150년 9월 20일 사망) | |
낭자(娘子) | 독노가(獨奴可) |
4. 3. 황자와 황녀
순서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1 | 양송국왕 (梁宋國王) | 완안 알본(完顔 斡本) 완안 종간 | ? ~ 1141년 | 광의황후 배만씨 | [37] | [38] | |
2 | 송왕(宋王) | 환숙(桓肅) | 완안 알로보(完顔 斡魯補) 완안 종망 | ? ~ 1127년 | 흠헌황후 흘석렬씨 | [39] | |
3 | 국왕(國王) | 완안 승과(完顔 繩果) 완안 종준 | ? ~ 1124년 | 성목황후 당괄씨 | [40] | ||
4 | 허왕(許王) | 양목(襄穆) | 완안 와리타(完顔 訛里朶) 완안 종요 | 1096년 ~ 1135년 | 선헌황후 복산씨 | [41] | [42] |
5 | 심왕(沈王) | 충렬(忠烈) | 완안 올출(完顔 兀朮) 완안 종필 | ? ~ 1148년 | 원비 오고론씨 | [43] | |
6 | 연왕(兗王) | 완안 와로관(完顔 訛魯觀) 완안 종준 | ? ~ 1139년 | 흠헌황후 흘석렬씨 | [44] | ||
7 | 풍왕(豊王) | 완안 오열(完顔 烏烈) 완안 종조 | 성목황후 당괄씨 | ||||
8 | 위왕(衛王) | 완안 아로(完顔 阿魯) 완안 종강 | ? ~ 1142년 | 원비 오고론씨 | [45] | ||
9 | 조왕(曹王) | 완안 아로보(完顔 阿魯補) 완안 종민 | ? ~ 1150년 | 원비 오고론씨 | [46] | [47] | |
10 | 조왕(趙王) | 효도(孝悼) | 완안 몰리야(完顔 沒里野) 완안 종걸 | ? ~ 1127년 | 성목황후 당괄씨 | [48] | |
11 | 기왕(紀王) | 완안 습니렬 | 숭비 소씨 | ||||
12 | 식왕(息王) | 완안 영길 | 숭비 소씨 | ||||
13 | 심왕(瀋王) | 완안 와로(完顔 訛魯) | 흠헌황후 흘석렬씨 | ||||
14 | 빈왕(豳王) | 완안 와로타 | 선헌황후 복산씨 | ||||
15 | 거왕(莒王) | 완안 연손 | 숭비 소씨 | ||||
16 | 업왕(鄴王) | 완안 알홀(完顔 斡忽) | 낭자 독노가 |
순서 |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비고 |
---|---|---|---|---|---|---|
1 | 공주(公主) | 완안 올로 | ? ~ 1152년 | rowspan="2" | | 도단 정가(徒單 定哥) | rowspan="2" | |
양진충왕(梁晉忠王) 도단 공(徒單 恭) | ||||||
2 | 필국공주(畢國公主) | 오고론 와론(烏古論 訛論) | ||||
3 | 공주(公主) | 포찰 석가노[10] |
5. 평가
아구다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지도력으로 금나라를 건국하고, 여진족을 통일한 영웅으로 평가받는다.[4] 1115년 1월, 일련의 군사적 성공 이후 스스로 황제를 칭하고 금나라를 세웠다.[6] 그는 몽골의 칭기즈 칸처럼 유목민족의 전통적인 부족 연합 체제를 중앙집권적인 국가 체제로 발전시켰다.
그러나 잦은 전쟁으로 백성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다는 비판도 받는다. 아구다는 1114년 요나라에 반기를 든 후, 1119년에서 1122년 사이 요나라 군대를 반복적으로 격파하고 요나라의 5개 수도를 모두 점령했다.[6]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백성이 전쟁에 동원되거나 피해를 입었다.
5. 1. 일화
천조제가 여진족 영토로 낚시 여행을 갔던 1112년, 천조제는 모든 족장에게 자신을 위해 춤을 추라고 명령했다. 아구다는 그 명령을 거부한 유일한 사람이었고, 이 일화는 여진족 사이에서 유명해졌다.[5]『요사』에 따르면, 천조제 시대에 연회가 열렸을 때 각 부족장들은 술자리에서 춤을 선보이도록 명령받았다. 아구다는 여러 번 권유받았음에도 완강하게 춤추기를 거부했다. 거란의 조신들은 아구다의 오만함에 격분하여 엄벌에 처하려 했으나, 천조제는 "여진족은 예의를 모를 뿐, 사냥에 능숙하다"고 칭찬하며 그를 두둔했다.[25]
6. 기년
태조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10년 | 11년 |
---|---|---|---|---|---|---|---|---|---|---|---|
서력 | 1113년 | 1114년 | 1115년 | 1116년 | 1117년 | 1118년 | 1119년 | 1120년 | 1121년 | 1122년 | 1123년 |
간지 | 계사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연호 | - | - | 수국 원년 | 2년 | 천보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2]
서적
An outlin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3]
서적
The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y: Chinese-English Edition
[4]
간행물
Discussion on Wanyan Aguda's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s
http://www.cnki.com.[...]
2020-10-20
[5]
문서
1997
[6]
문서
1997
[7]
문서
CHT
[8]
웹사이트
阿骨打、粘罕雕像落成
http://heilongjiang.[...]
2007-08-24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뉴스
遼・金王朝 千年の時をこえて 第18回
http://www.peoplechi[...]
人民中国
2010-08
[26]
서적
女真文辞典
文物出版社
1984
[2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28]
서적
An outlin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29]
서적
The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y: Chinese-English Edition
[30]
간행물
论完颜阿骨打的政治、经济改革
http://www.cnki.com.[...]
2020-10-20
[31]
서적
Studies on the Jurchens and the Chin Dynasty
Ashgate
1997
[32]
서적
Studies on the Jurchens and the Chin Dynasty
Ashgate
1997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세종
[37]
문서
요충렬왕
[38]
문서
금 해릉양왕
[39]
문서
위왕
[40]
문서
금 희종
[41]
문서
노왕
[42]
문서
금 세종
[43]
문서
월왕
[44]
문서
진왕
[45]
문서
기왕
[46]
문서
촉왕
[47]
문서
금 해릉양왕
[48]
문서
월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